내용으로 건너뛰기
adminschool.net wiki
사용자 도구
로그인
사이트 도구
검색
도구
문서 보기
이전 판
역링크
최근 바뀜
미디어 관리자
사이트맵
로그인
>
최근 바뀜
미디어 관리자
사이트맵
추적:
•
hpux
os:debian:x-window:totem
이 문서는 읽기 전용입니다. 원본을 볼 수는 있지만 바꿀 수는 없습니다.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면 관리자에게 문의하세요.
====== Linux X-windows 상에서 동영상 한글자막 보기 ====== * Linux X-windows상에서 동영상 한글자막을 볼 수 있는 프로그램들은 mplayer, totem, kaffeine, xine 등이 있다. * 이중에서 mplayer와 totem을 이용한 한글자막 보기를 알아보겠다. ===== totem으로 동영상 (한글)자막보기 ====== - debian package install <code> $ apt-get install totem totem-xine libxine-dev libxine1 </code> - http://xinehq.de 홈페이지에 가서 xine-lib 최신버젼을 받는다.(xine 폰트생성을 위한 파일) - 압축을 해제하고, misc 디렉토리로 이동한다.<code> $ cd misc </code> - xine-lib 파일을 컴파일한다.<code> gcc xine-fontconv.c -o xine-fontconv `freetype-config --cflags --libs` -lz </code> - 생성된 xine-fontconv 파일을 PATH가 걸려있는 경로(/usr/bin, /usr/local/bin 등)로 복사한다. - FONT PATH 중 gulim.ttf dotum.ttf 가 있는 경로로 이동한다.<code> $ cd /usr/share/fonts/ko/TrueType (RedHat) </code> - 한글폰트를 생성한다.<code> $ xine-fontconv dotum.ttf xine-dotum euc-kr $ xine-fontconv gulim.ttf xine-gulim euc-kr or $ xine-fontconv dotum.ttf dotum euc-kr $ xine-fontconv gulim.ttf gulim euc-kr </code> - *.xinefont.gz 파일 모두를 /usr/share/xine/libxine1/fonts로 이동시킨다. - ~/.gnome2/totem_config 파일에서 아래의 내용을 활성화 시킨다.(상황에 따라 euc-kr을 cp949로 설정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.) <code> ... subtitles.separate.subtitle_size:large subtitles.separate.font:dotum subtitles.separate.src_encoding:euc-kr ... </code> - totem 으로 한글자막이 있는 동영상을 감상한다. ===== mplayer으로 동영상 (한글)자막보기 ====== - debian package install <code> $ apt-get install mplayer </code> - mplayer 환경파일을 설정한다.<code> $ vi ~/.mplayer/config </code> - config 파일설정 예제이다.<code> #설정 변경 - 비디오모드를 SDL모드로 openGl를 사용하고싶으시면 gl2 # 저사양 컴퓨터나 엄청나게 빠른 속도를 원하신 다면 vo=dga로 하세요.. 엄청난 속도로 돌아가게됩니다. # 참고로 제 컴퓨터는 k6-2 500 DGA 모드에서 이니셜D 600x480 화면이 빵빵하게 돌아갑니다. vo=xv #ao = sdl #or oss #오디오 모드 - SDL로 -그냥 SDL모드로 하세요 안되시면 oss로 하시고요 ao=alsa # Use this for a widescreen monitor, non-square pixels. monitoraspect=16:10 #========== # Subtitles #========== # VobSubs #======== # Align subs. (-1: as they want to align themselves) spualign=-1 # Anti-alias subs. (4: best and slowest) spuaa=4 # Set language. slang=en,eng # Text-based subtitles #===================== # Find subtitle files. (1: load all subs containing movie name) sub-fuzziness=1 # TTF글꼴의절대경로 글꼴을 지정해줍니다. # Set font. #font=/usr/share/fonts/truetype/unfonts/UnGraphic.ttf font=/usr/share/fonts/ko/TrueType/gulim.ttf # fontconfig = 1 옵션을 주었을 경우 굳이 TTF글꼴의 경로를 지정해 줄 필요 없이 직접 글꼴 (fc-list 로 볼수 있는)이름을 # 적어 주는 것이 맞습니다. 이렇게 했을 경우, mplayer 를 실행했을 때, 글꼴이 올바르지 않다는 식의 # 쓸데없는 에러메시지가 나오지 않습니다. # 정확히 어느 버전부데 이렇게 바뀌었는지는 모르겠지만, 최근버전이라면 제대로 동작합니다. # libfontconfig1-dev 패키지가 설치되어 있는 상태에서, 컴파일하셔야 합니다. (ldd /usr/bin/mplayer 로 확인하세요.) #font="Sans" # Set font encoding. subfont-encoding=unicode # Set subtitle file encoding. # 한글 자막을 위해서 입니다. unicode = 1 unicode=yes utf8=yes # 문자셋지정. 매우 중요! euc-kr이나 cp949를 시도해보세요. subcp=cp949 #subcp=euckr # Resample the font alphamap. (10: bold black outline) ffactor=10 # Set subtitle position. (100: as low as possible) subpos=100 # Set subtitle alignment at its position. (2: bottom) subalign=2 # Set font blur radius. (default: 2) subfont-blur=0.5 # 자막의 외곽선 지정 # Set font outline thickness. (default: 2) subfont-outline=1.2 # 글꼴의 크기 # Set autoscale coefficient. (default: 5) #subfont-text-scale=2.6 subfont-text-scale=4 # OSD #==== </code>
os/debian/x-window/totem.txt
· 마지막으로 수정됨: 2007/05/09 08:24 저자
starlits
문서 도구
문서 보기
이전 판
역링크
맨 위로